MY MENU
제정일 2005년 05월 16일
제1차 개정일 2005년 07월 15일
제2차 개정일 2011년 03월 12일
제3차 개정일 2011년 09월 16일
제4차 개정일 2012년 10월 17일
제5차 개정일 2017년 02월 24일
제6차 개정일 2018년 09월 28일
제7차 개정일 2023년 12월 09일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는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를 다음 기준에 의거하여 출판한다.

  • 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는 연 2회 발간한다. 발행일자는 각권 1호는 2월 28일, 2호는 8월 31일로 규정한다.
  • 2. 모든 출판과정은 편집위원회에서 관장한다.
  • 3. 투고기한은 발행일자로부터 1개월 15일 이전으로 규정한다. 각권 1호는 매년 1월 13일까지, 2호는 7월 15일까지로 정하고, 투고기한을 넘은 원고는 다음 호에 게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4. 원고 작성은 학회의 규정양식에 맞추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학회가 정한 투고규정 중 원고 작성요령을 따르도록 한다.
  • 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에 게재된 논문은 누리미디어(주)에서 원문을 제공한다.
  • 6. 투고하여 게재가 확정된 논문 저자는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RI)에 등록된 논문을 연구자 및 일반인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학회에 저작권을 양도한다.(2018년 9월 28일 신설)
  • 7. 논문 게재 자격은 본회의 회원에 한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투고규정

1. 투고의 형식

1) 원고의 투고 및 분량(2023년 12월 09일 개정)

  • ① 논문은 본문, 각주, 참고문헌, 논문 요약문(국문 및 영문, 200자 원고지 5매 이내), 영문 이름과 영문제목, 핵심 주제어(국문 및 영문, 5개 이내)를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80매(연구노트는 70매) 분량을 넘지 못한다. 180매를 초과할 경우, 필자가 초과분 인쇄비(원고지 1매당 5,000원)를 부담해야 한다. (2023년 12월 09일 개정)
  • ② 논문 요약문(초록)은 논문 전체 내용을 포괄하는 포괄성, 정확하게 전달하는 정확성, 쉽게 전달하는 가독성 및 적절하게 표현하는 표현력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2018년 9월 28일 신설)
  • ③ 당해 연도에 2회 투고는 가능하나 게재는 연 1회로 제한한다. 따라서 연 1회를 초과할 경우 해당 원고는 차년도 다음 호로 이월시킨다.(2012년 10월 신설)

2) 원고의 구성

  • (1) 표지에 논문의 제목과 투고자의 이름, 소속 및 직위를 포함한다.(2018년 9월 28일 개정)
    예: 홍길동(활빈대학교, 부교수)
  • (2) 본문의 장, 절, 항의 번호는 Ⅰ, 2, 3)의 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긴다.
  • (3) 각주는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관련된 논의의 소개가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가능한 한 짧게 한다. 5행(200자 원고지 1장)을 초과하는 각주는 본문 중에 편입시키도록 노력한다. 각주는 본문 중의 적당한 곳에(구두점이 있을 경우 그 다음에) 일련번호로 표시하고 내용은 본문 해당면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 (4) 참고 문헌은 새로운 면에서 <참고 문헌>이라는 제목을 단 후 시작한다. 참고 문헌의 작성은 아래의 <참고 문헌 작성 요령>을 참고한다.
  • (5)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혼란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한자를 사용하되 먼저 한글을 쓰고 괄호 속에 한자를 부기한다. 외국학자의 게재 논문은 원문 수록도 허용한다.
  • (6) 외래어의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번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외래 용어를 부기한다.
  • (7) 외국 인명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표기하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표기에 이어 괄호 속에 원어 명을 부기한다. 구미 학자의 성명은 first name, middle name(initial), family name을 명기한다.
    예: 마오쩌둥(毛澤東); 루소(Jean J. Rousseau)
  • (8) 외국 지명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의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표기한다. 단, 혼란의 우려가 있을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표기에 이어 괄호 속에 원어 명을 부기한다.
  • (9) 외국어 표기에서 장음을 쓰지 않는다.
    예: 토오쿄오(×), 토쿄(O)
  • (10) 원고 사양(2018년 9월 28일 개정)
    여백 주기: 왼쪽 0, 오른쪽 0, 행간 160, 들여 쓰기 5
    활자 크기: 제목-20p, 장-15p, 절-12p, 본문-10p, 각주-9p
    활자 모양: 한글-휴먼명조, 한자-휴먼명조, 영어-휴먼명조
  • (11) 인용문의 경우(2018년 9월 28일 개정)
    왼쪽 여백 5, 오른쪽 여백 5, 행간 130으로 하며, 3행 이상일 경우에만 인용문으로 하고 그 이하는 본문에 넣는다.

2. 각주 및 참고문헌 작성 요령

1) 각주 작성 요령

  • (1) 단행본
    가. 인용된 저서가 한 권일 경우
    19) Guenter Lewy, Religion and Revolution(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p.546.
    20) 李能和, 『朝鮮基督敎及外交史』(京城: 朝鮮基督敎彰文社, 1928), p.127.
    나. 인용된 저서가 두 권일 경우
    21) Carlton J. Hayes, Nationalism: A Religion(New York: The Macmillan Co., 1960), p. 83; Carlton J. Hay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Modern Nationalism(New York: Macmillan Co., 1955), pp.232-240.
    다. 연속적으로 거듭될 경우
    22) Ibid., p.22.
    23) 같은 책, p.22.
    라. 연속되지 않으면서 거듭될 경우
    25) Carlton J. Hay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Modern Nationalism, pp. 232-240; Guenter Lewy, op. cit., p. 546..
    26) 박충석, 앞의 책, p. 90.
    마. 연속적인 인용의 경우 여러 가지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필자 및 저서명을 다음과 같이 거듭 명시하기도 한다.
    27) Carlton J. Hay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Modern Nationalism, p. 247.
  • (2) 논문
    28) 千寬宇,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구조,” 陳德奎(편), 『한국의 민족주의』(서울: 현대사상사, 1976), pp.78-79.
    29) Shin Bok-ryong, “Considerations on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In Connection with D. Acheson’s Speech before the National Press Club,”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Studies, Vol. 7(April 2000), pp.91-93.
    30) Ernestine Evans, “Looking East from Moscow,” Asia, Vol. 22, No. 12(December, 1922), p.1011.
  • (3) 학위논문
    31) 홍길동, “조선 후기 민란의 도덕 경제,” 집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2.
    32) Doe, John, “The Social Banditry in Late Imperial China,” Ph. D. Diss., Robin Hood University, 1988.
  • (4) 한적(漢籍) 및 문집
    가. 年代記的(chronology) 성격을 갖는 1차 사료, 예컨대, 『三國史記』, 『高麗史』, 『조선왕조실록』, 또는 『論語』와 같이 흔히 알려져 있고 판본이 여러 가지인 자료를 인용하여 本文에 註를 작성 할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필자와 쪽수를 밝히는 방법, 예컨대, (金富軾, 『삼국사기』, p. 69), 『조선왕조실록』 7권, p. 67) 또는 孔子, 『논어』, p. 76) 등의 방법을 쓰지 않고,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33) 『삼국사기』 「新羅本紀」 文武王2年 6月條.
    34) 『正祖實錄』 9年(1785) 4月 戊子(또는 일자): “掌令柳河源上疏.”
    35) 『高麗史』 「世家」 靖宗3年 3月 甲戌.
    36)『高麗史』 「天文志(1)」 穆宗12年 2月 己丑.
    37) 『論語』 「學而」.
    나.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에는 卷次를 넣지 않는다.
    38) 『毅菴先生文集』 卷45 「檄文草(丁未8月)」
    39 『宋子大全』 卷118 「書」 趙維元에게 답함.
    다. 한적의 경우에는 거듭되더라도 op. cit., Ibid., 전게서, 상게서, 앞의 책 등의 약호를 쓰지 않고 서명을 거듭 명기한다. 라. 동양의 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한문의 원문을 각주로 첨부하여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허용한다.
    40) 『正祖實錄』 12年 8月 戊辰: “召見大臣上曰, 予意則, 使吾道大明, 正學丕闡, 則如此邪說, 可以自起自滅, 而人其人火其書, … 濟恭曰, 其中好處, 亦或有之.”
  • (5)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의 무기명 기사
    가. 지명, 발행 年年/月月/日日(월간지의 경우 발행 年年/月月), 면수를 괄호 안에 표기한다.
    41) 『중앙일보』 93/04/08. 혹은 심지연, “한국 정당의 미래,” 『신동아』 93/02, p.233.
  • (6) 인터넷 자료 인용
    가. 제작자, 제작 연도, 주제명, 웹주소(검색 일자)의 순으로 한다.
    42) 홍길동, “한국의 통일 정책,” http://taejon.ac.kr/kildong/kk0101.html(검색일: 1998. 10. 20.).

2) 참고문헌 작성 요령

  • (1) 각 문헌은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어 문헌, 기타 언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 문헌 순으로 배치하며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예: 홍길동?장길산. 1989. 『조선 의적사 연구』. 서울: 개벽사.
    Bell, Daniel.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 Basic Books.
    丸山眞男. 1964.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東京: 未來社.
    李昱君. 1986. 『中國城市住宅供與硏究』. 臺北: 中華經濟硏究所.
  • (2) 논문과 저서를 구분하지 않으며 필자 순으로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