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제목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연례 학술회의 및 정기총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4.01.14
첨부파일0
조회수
1932
내용

 


안녕하세요?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연례 학술회의 및 정기총회가 개최됩니다.


세부일정에 관해서는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참석 부탁드리며, 학술회의 때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집행부일동 배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연례학술회의>


 


 


일시 : 2014. 2. 15(토) 오후 1:30-6:00


장소 : 연세대 연희관 106호



 


주제 : 강상규 교수의 <조선정치사의 발견>에 대한 서평



 


등록 및 개회(1:30-2:00)


제1세션(2:00-3:30) : <조선정치사의 발견> 제1부에 대한 서평


사회 : 유근호(성신여대 명예교수)


발표 : 강상규(방송대), <조선정치사의 발견>의 개요


서평(1부) : 최연식(연세대), 방상근(고려대)


휴식(3:30-3:50)


제2세션(3:50-5:20) : <조선정치사의 발견> 제2,3부에 대한 서평


사회 : 김영작(국민대 명예교수)


서평(2부) : 고희탁(연세대), 유불란(경희대)


서평(3부) : 이민원(동아역사연구소), 김태희(다산연구소)


휴식(5:20-5:30)


총회(5:30-6:00)


만찬(6:00- )


 


 


*************************


참고로 <조선정치사의 발견>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장


제1부 조선의 유교적 정치지형과 군신관계: 탄생과 전개


제1장 조선의 유교적 정치지형의 탄생과 왕권의 공간


1. 조선 건국의 문명사적 함의와 새로운 아이덴티티 모색


(1) 조선 건국의 전환기적 문맥과 건국 이데올로그의 정치구상


(2) 새 왕조의 문화지향적 정체성과 화이질서와의 친화성


2. 왕권의 공간과 군신간의 상호의존적 긴장관계


(1) 이념과 왕권의 공간


(2) 제도와 왕권의 공간


제2장 조선정치의 국면전환과 군신간 역학관계의 변화


1. 조선 전기: 개국공간의 신유학적 리얼리즘과 왕조국가의 중심 구축


(1) 신유학적 리얼리즘과 왕권의 상대적 자율성


(2) 소중화적 문화주의와 보편과 특수의 창조적 긴장


(3) 새로운 국면전환의 징후


2. 조선 중기: 성리학적 질서의 사회적 내면화와 정치적 구심축의 분화


(1) 국왕 권위의 상대화와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동


(2) 조선성리학의 사회적 내면화와 규범주의적 경향성


(3) 혼돈 국면의 계기들: 전쟁, 기상이변, 화이변태


3. 조선 후기: 전환기 정체성의 변용과 정치적․사상적 구심축의 불안한 균형


(1) 천하질서의 변동과 새로운 정체성 모색


(2) 존주대의와 비판적 지식인들의 현실인식


(3) 중심의 분산과 기우뚱한 균형


제2부 서세동점기 동아시아질서의 동요


제3장 청과 일본의 만국공법 수용양상과 상이한 위기의식


1. 근대 국제법의 권력정치적 측면과 문명주의적 성격


2. 청의 경우: 조약체제의 전통적 해석과 현상유지책으로서의 만국공법


(1) 중국적 세계질서에 있어 조약체제의 등장과 국제법 서적의 번역


(2) 중화질서 중심의 위기의식과 현상유지책으로서 만국공법의 활용


3. 일본의 경우: 서구적 보편의 이중성이 구현된 새로운 문명기준으로서의 만국공법


(1) 일본의 전통적 대외관념과 위기의식


(2) 개국과 만국공법의 수용


(3) 메이지유신과 ‘문명의 문법’으로서의 만국공법 활용


제4장 19세기 조선의 정치공간과 위기의 징후들


1. 19세기 조선정치의 국면전환


(1) 국면전환과 대내적 위기: 담합의 정치


(2) 대외적 위기와 위기의식: 굴절된 자기정체성의 부상과 편승의 외교


2. 전환기 대원군의 정치적 리더십과 위기관리책의 패러독스


(1) 문제적 인물 흥선대원군


(2) 대원군의 정치적 위상과 권력 실세로의 부상


(3) 병인박해의 감춰진 경위


(4) 대원군의 위기관리와 왕권강화책의 역설


제3부 패러다임 전환기 왕권과 정치공간


제5장 고종의 정치의식과 새로운 대외관의 형성


1. 고종 초기의 정치의식과 전통적인 대외관의 형성


(1) 고종의 성격과 그에 관한 이미지들


(2) 성왕 수련과 유교적 인군의식의 성장: 고종 정치의식의 토대


(3) 화이론적 명분론에 근거한 전통적 대외인식


2. 청년 고종의 국내외 현실정치의 체험과 대외관의 전회


(1) 고종의 정보 루트와 박규수


(2) 일본에의 개항과 외국 전래서적의 영향


(3) ‘친중국’ 및 ‘연미국’의 협소한 전략공간과 고종


제6장 새로운 정치질서의 모색과 새로운 위기


1. 고종의 개혁정책과 자주외교의 모색


(1) 통리기무아문의 설치와 개혁의 중심잡기


(2) 고종의 자주적 다변외교의 추구


2. 협소한 정치공간과 정치적 구심축의 표류


(1) 유교적 정치지형의 불협화음과 정치위기


(2) 자강의 방법을 둘러싼 갈등과 대내외적 압박의 심화


종장 조선의 유교적 정치지형과 문명사적 전환기의 위기


***************************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